귓볼에 만져지는 알맹이, 혹… 꼭 병원 가야 할까요? 무심코 만졌는데 귓볼에 무언가 만져지거나 거슬린다면 괜히 신경이 계속 쓰이실텐데요. 예전에 귀 뚫은 부위에 알레르기 반응 때문에 귀걸이 사용을 중단한 적이 있다면 피지낭종, 흉터, 진주종 등 다양한 원인으로 귓볼에 혹 같은 알맹이가 만져질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귓볼에 알맹이나 혹이 만져질때 원인이나 대처법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.
1. 귓볼 알맹이, 원인과 증상
- 피지낭종: 귀걸이 구멍에 피지선이 막혀 지방 덩어리가 생기는 것
- 진주종: 피부 조직이 귀속에서 덩어리로 자라나는 경우(드물게 발생)
- 염증 후 흉터(결절): 예전 알레르기·염증이 지나간 자리에 딱딱한 결절이 남을 수 있음
- 진물·붓기·통증: 세균 감염일 경우 붉게 부어오르고, 진물이 생기며, 만지면 아픔
원인 | 증상 | 병원 방문 필요 |
---|---|---|
피지낭종, 흉터 | 작은 혹, 딱딱하거나 말랑한 알맹이 통증·진물 없음 |
대부분 자연 소실, 통증/부기 없으면 관찰 |
염증, 감염 | 붉게 부음, 만지면 통증, 진물·고름 | 2~3일 이상 지속, 통증 심하면 진료 필요 |
진주종 | 서서히 커짐, 드물게 발생 | 점점 커지거나 오래 지속시 진료 권장 |
💡 이럴 땐 병원 진료가 꼭 필요합니다.
- 알맹이가 점점 커지거나 만지면 아플 때
- 붓거나, 진물·고름이 나올 때
- 2주 이상 사라지지 않고 불편할 때
가까운 피부과 또는 이비인후과 진료를 권장합니다.
2. 집에서 관리할 수 있는 방법
- 청결하게 관리(손으로 자주 만지지 않기)
- 온찜질(부드러운 수건 등으로 5~10분 정도) — 피지 배출 도움
- 알맹이 짜거나 바늘로 찌르는 건 금지!
- 통증, 부기, 발적이 심할 땐 병원 진료 우선
🔍 전문가 TIP
대부분의 귓볼 혹은 특별한 치료 없이도 사라지지만,
감염/고름 동반 시 항생제나 간단한 시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귀걸이 금속 알레르기가 원인이라면 은, 14K 등 순도 높은 제품을 사용하세요.

3. 자주 묻는 질문(FAQ)
Q1. 귓볼 알맹이를 짜도 되나요?
절대 권장하지 않습니다! 세균 감염, 흉터, 더 큰 혹으로 발전할 수 있어 위험합니다.
Q2. 시간이 지나면 자연히 사라지기도 하나요?
피지낭종이나 흉터라면 자연 소실되기도 합니다. 단, 2주 이상 지속되면 병원 진료가 안전합니다.
Q3. 집에서 바를만한 연고나 약이 있을까요?
가벼운 붓기·염증에는 소독제, 여드름 연고 등이 도움될 수 있지만, 악화되면 전문 치료가 필요합니다.
Q4. 계속 커지거나 딱딱해지면?
진주종, 만성 염증 등 특수 원인이 있을 수 있으니 반드시 전문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.
Q5. 피부과/이비인후과 어디로 가야 하나요?
둘 다 가능하나, 외이도(귓바퀴 내부)라면 이비인후과, 표면(귓볼/피부) 위주라면 피부과가 편리합니다.
정리하며, 귓볼에 만져지는 알맹이나 혹은 대부분 자연스럽게 없어질 수 있지만, 증상이 심해지거나 불편하다면 미루지 말고 꼭 전문의 진료를 받아보시길 바랍니다. 자가 관리법, 주의사항, 병원 방문 기준을 지키면 건강한 귀 관리에 큰 도움이 됩니다.
🔗건강 관련 함께 보면 좋은 글
'건강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일어날 때 어지럼증, 기립성 저혈압이 의심될 때 원인과 대처법 총정리 (1) | 2025.07.04 |
---|---|
갑작스러운 복통과 설사, 급성위장염 증상과 응급대처법 한눈에! (1) | 2025.07.02 |
60세, 70세 중장년 혈압 건강하게 관리하는 방법, 정상 수치와 저혈압 기준 (1) | 2025.07.01 |
2025년 기준 정관수술 복원 성공률 : 임신 가능성 및 비용 총정리 (3) | 2025.06.29 |
갑자기 숨이 차고 심장이 빨라진다면? 공황장애 의심 증상 총정리 (2) | 2025.06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