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어날 때마다 몇 초동안 지속되는 어지러움을 느끼거나 심해서 다시 주저 앉거나 쓰러진 경험 있으신가요? 이런 증상은 단순 피곤함이 아닌, 기립성 저혈압이나 다른 질환 신호일 수 있습니다. 자주 반복된다면 꼭 정확한 진단과 관리가 필요한데요. 고혈압도 위험한 만성질환 중 하나이지만 반대로 저혈압의 경우도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일어날 때 어지럼증 즉, 기립성 저혈압의 원인과 대처방법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.
1. 기립성 저혈압이란?
기립성 저혈압은 누워있거나 앉아있다가 갑자기 일어설 때 혈압이 순간적으로 떨어지며 어지럼증, 눈앞이 깜깜함, 중심 상실, 심한 경우 잠깐 실신까지 나타나는 현상입니다.
2. 기립성 저혈압의 원인, 이렇게 다양합니다
기립성 저혈압은 단순히 “혈압이 낮아서” 생기는 게 아닙니다.
혈액순환, 자율신경, 심장, 내분비계, 생활습관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납니다.
주요 원인은 아래와 같습니다.
- 1. 혈관 조절 능력 저하
갑자기 일어설 때, 혈관이 제대로 수축하지 못해 뇌로 가는 혈류가 순간적으로 줄어듭니다.- 노화(고령자) — 나이가 들수록 혈관 탄력, 조절 능력이 떨어집니다.
- 장시간 누워있다 갑자기 일어설 때
- 오랜 앉은 자세나 다리 꼬기 습관
- 2. 자율신경계 이상
혈압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율신경계 기능이 약해질 때 발생- 당뇨병성 신경병증
- 파킨슨병, 신경계 질환
- 만성 알코올 남용 등
- 3. 혈액량 감소(탈수, 출혈, 과도한 다이어트)
체내 수분이 부족해지면 혈액량 자체가 줄어 혈압이 쉽게 떨어집니다.- 심한 구토·설사, 과도한 땀, 이뇨제 남용
- 다이어트로 인한 저체중, 저영양 상태
- 4. 심장 및 혈관 질환
- 심부전(심장이 충분히 혈액을 펌프질하지 못함)
- 심장 판막질환, 부정맥 등
- 5. 약물 영향
- 혈압강하제(고혈압 약), 이뇨제, 항우울제, 진정제 등
- 일부 신경안정제, 진통제도 저혈압 유발 가능
- 6. 기타 원인
- 빈혈(적혈구 부족), 갑상선질환, 애디슨병(부신기능저하)
- 심한 스트레스, 수면부족, 음주, 무리한 운동 등
단순 탈수·피로라면 수분 보충, 휴식이 도움이 되지만,
심장·신경·내분비질환, 약물 부작용 등이 숨어있을 수 있으니 증상이 반복된다면 꼭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.
- 어지럼증이 점점 심해지거나, 10초 이상 지속될 때
- 중심을 잃고 쓰러질 뻔 하거나, 실제로 다친 적이 있을 때
- 만성질환, 고령, 약물 복용 중이라면 빠른 내과·신경과 진료 권장
3. 기립성 저혈압, 생활 관리·예방법
- 충분한 수분 섭취 — 하루 1.5~2L 이상 물 마시기
- 갑자기 일어나지 않기 — 누운 자세에서 앉은 뒤, 천천히 일어남
- 규칙적인 식사, 과로 피하기, 적당한 운동
- 저혈압 유발 약물(혈압약, 이뇨제 등) 복용 시 의사와 상담
- 심한 경우, 압박스타킹/소금 섭취 늘리기 등도 도움이 될 수 있음
기립성 저혈압은 대부분 생활습관 개선으로 호전되지만,
반복적으로 쓰러지거나 증상이 심해진다면 내과, 신경과 진료를 꼭 받아야 원인을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.
심혈관·신경계질환이 숨겨져 있을 수 있습니다.
4. 기립성 저혈압 자가 체크리스트
항목 | 내용 |
---|---|
1 | 누워있거나 앉아있다가 일어설 때 어지럼증을 자주 느낀다 |
2 | 일어나면 눈앞이 깜깜해지거나, 소리가 멀게 느껴질 때가 있다 |
3 | 3초 이상 어지럽고, 중심을 잡기 힘들 때가 있다 |
4 | 일어나다가 휘청거리거나, 물건을 쓰러트린 적이 있다 |
5 | 최근 증상이 점점 심해지거나, 10초 이상 지속될 때가 있다 |
6 | 평소 저혈압, 빈혈, 탈수, 심장질환, 신경계질환이 있다 |
7 | 어지럼증 때문에 쓰러진 적이 있거나, 넘어질 뻔한 적이 있다 |
※ 체크리스트 결과 안내
위 항목 중 2개 이상에 해당한다면 단순 피곤함이 아닌 기립성 저혈압이나 다른 건강 문제 신호일 수 있습니다.
3개 이상이면 반드시 내과나 신경과 등 전문의 진료를 권장드립니다.
5. 자주 묻는 질문(FAQ)
Q1. 기립성 저혈압, 그냥 둬도 되나요?
가벼운 어지럼증이 일시적으로 한두 번이라면 큰 문제 없지만, 10초 이상 반복되거나 중심을 못 잡는다면 반드시 진단·관리 필요합니다.
Q2. 병원에 가면 어떤 검사를 하나요?
혈압 측정(누워서, 앉아서, 일어서서), 피검사(빈혈, 전해질 등), 필요시 심전도/심장초음파/기립경사 검사 등 시행합니다.
Q3. 평소 예방을 위해 뭘 해야 하나요?
수분 충분히 마시고, 갑자기 일어나지 않기, 규칙적인 식사와 운동, 무리한 다이어트·음주·과로 피하기가 중요합니다.
Q4. 약물로 치료가 가능한가요?
일부는 약물치료(혈압 유지제, 수분 보충제 등)가 필요할 수 있으니 전문의 상담이 필요합니다.
Q5. 쓰러진 적이 있다면 어떻게 하나요?
절대 혼자 있지 말고, 증상이 심할 땐 바로 내과·신경과 진료를 받으세요. 외상 예방을 위해 안전한 환경이 필요합니다.
🔗건강 관련 함께 보면 좋은 글
'건강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귓볼에 알맹이, 혹이 만져질 때 꼭 알아야 할 원인과 대처법 (1) | 2025.07.03 |
---|---|
갑작스러운 복통과 설사, 급성위장염 증상과 응급대처법 한눈에! (1) | 2025.07.02 |
60세, 70세 중장년 혈압 건강하게 관리하는 방법, 정상 수치와 저혈압 기준 (1) | 2025.07.01 |
2025년 기준 정관수술 복원 성공률 : 임신 가능성 및 비용 총정리 (3) | 2025.06.29 |
갑자기 숨이 차고 심장이 빨라진다면? 공황장애 의심 증상 총정리 (2) | 2025.06.28 |